본문 바로가기
기타

피스고루 17화 끝말잇기 퀴즈 해설편(주관적)

by 강공책 2024. 4. 23.

피스고루 17화 : https://note564p.tistory.com/57

 

피스고루 17화

 

note564p.tistory.com

 

 


 

답이 궁금하다는 댓글이 달린 김에 저도 한번 정리 좀 해보고자 해서 해설편을 따로 작성합니다.

다만 저도 완벽히 이해한게 아니라 틀릴 수도 있는 점 감안하고 봐주세요. (특히 투구랑 시노비...)

 

pc로 작성한지라 모바일로 보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.

다른 의견 있으시거나 잘못 적힌게 있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
 

* 시노비 부분이 빠져있었어서 급히 추가


1. 마마마(ままま)

 

마가 3개 → 3(산 / さん)마 → 산마(さん: 꽁치)

 

2. 일□백천○(一□百千○) 
     

 

일십백천만 → : 만(만 / ) / : 십(쥬 / )  : 만쥬(んじゅ

 

3. 蝸□ / 鬪□ / 刀 / □

 

우() 로 시작하고, □안에 들어가는 공통된 한자.

만화에서 제시한 답은 우시( / うし: 소)

 

蝸(달팽이 와) + 牛(소 우) →  와우(蝸牛: 달팽이)

鬪(싸울 투) + 牛(소 우) → 투우(鬪牛)

牛(소 우) + 刀(검 도) → 우도(牛刀: 소잡는 칼)

牛(소 우) + 步(걸음 보) 우보(步: 소처럼 느린 걸음)

 

4. 1000
     입

 

↑ 위 그림을 보면, 1000이 위에 있고 입 그림이 아래에 있습니다.

이는 한자를 그림으로 표현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.

이를 글자로 쓰면,

 

천()

입()

 

이렇게 됩니다.

천()이 위에 있고 입()이 아래에 있으며 발음이

시()로 시작하는 한자, 

시타(舌 /した: 혀)를 나타낸 것입니다.

 

5. 「배(腹)」 라는 단위로 세는 음식물

 

어란을 셀 때 「○배」 라고 센다고 합니다.

이유는 물고기마다 알을 낳는 양이 달라서 라고 하네요.

https://japanknowledge.com/articles/kze/column_kaz_s04.html (일본 사이트)

 

타() 로 시작하는 어란, 타라코(: 명란젓)를 나타낸 것입니다.

 

6. 流□ / 初□ /□雨 / □柱

 

3번 문제와 한자만 다르고 푸는 법은 동일합니다.

코() 로 시작하고, □안에 들어가는 공통된 한자.

만화에서 제시한 답은 코오리( / : 얼음)

 

流(흐를 유) + 氷(얼음 빙) →  유빙(流氷)

初(처음 초) + 氷(얼음 빙) : 초빙(初氷: 첫 얼음)

氷(얼음 빙) +(비 우) → 우박(氷雨)

氷(얼음 빙) +(기둥 주)  고드름()

 

7. 48293927262940

 

이건 도저히 감이 안왔는데, 만화에 달린 댓글을 보고 알아냈습니다...

삐삐 대응표(ポケベルの対応表)를 이용한 암호라 하더군요.

위 표를 대응해 적어보면

48(R) 29(I) 39(N) 27(G) 26(F) 29(I) 40(T)

= RINGFIT(ングフィッ: 링피트)가 됩니다.

 

8. 兜(카부토: 투구)

 

이건 좀 이해가 안됐던 부분인데

7번이 링피트, 즉 토()로 끝나고,

9번은 후술하겠지만 답이 카카시(허수아비)라 카()로 시작합니다.

즉, 토()로 시작하고 카()로 끝나야하는 단어가 들어와야하는데...

카부토()는 완벽히 반대되는 단어란 말이죠.

여기서 원본 문제를 잘 보면, 한자를 좌우반전 시켜놨습니다.

그래서 카부토()를 토부카() 로 읽어야 하는거 아닌가...

하고 개인적으로 결론냈습니다. 그래도 되는지는 모르겠지만요.

 

참고로 토부카라는 단어는 제가 알기론 없긴 합니다.

 

9. 二七二七六七

 

이거는 만화 중간에 힌트가 나오는데,

우에스기 암호(上杉暗号)라는 걸 이용한 문제입니다.

위 암호표를 대조해 적어보면,

二七() /  二七() / 六七()

= 카카시(: 허수아비) 가 됩니다.

 

10. 

 

반 짤려 보이는 인()

이것도 추정컨데 11번의 답이 노렌(れん) 인걸 봐서

시노비(忍び / しのび) 에서 반 자른 시노(しの)만 따온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...

이건 정말로 모르겠네요.

 

11. □에 팔밀기( に腕押し)

 

이거는 일본 속담입니다.

暖簾に腕押し(발에 팔밀기, 비슷한 한국어 속담으론 호박에 침주기 등이 있음.)

 

□ = 暖簾(노렌 / れん: 상점 입구에 거는 천막 같은거)


순서대로 적을 시 :

 

산마(さん: 꽁치) → 만쥬(んじゅ)  → 우시(うし: 소) → 시타(した: 혀) → 타라코(: 명란젓) → 코오리(: 얼음) → 링피트(ングフィッ) → 카부토를 뒤집은 토부카(?)() → 카카시(: 허수아비) → 시노(비)(しの(び))노렌(れん: 상점 입구에 거는 천막 같은거)